이 사이트는 Spring에서 제공하는 Spring Boot 기반으로
Spring 관련 프로젝트를 만들어주는 사이트이다.
과거에는 maven을 썼지만 요즘엔 gradle을 많이 사용한다.
(난 Maven만 써보고 gradle은 안써봐서 공부 많이 해야한다ㅜㅜ)
Project - Gradle - Groovy
(전에는 Maven과 Gradle 두개만 있었지만 업데이트됨
Gradle - Groovy로 사용하면된다해서 이걸로!)
Spring Boot에서 SNAPSHOT은 아직 만들고 있는 중이라는 의미
웬만하면 스냅샷은 피하자!!
Group은 보통 기업의 도메인 명 같은걸 적는다는데
나는 백수라 hello
Artifact - 빌드될때 나오는 결과물(프로젝트 명)
이 부분이 중요하다!!!
Dependencies - 어떤 라이브러리를 쓸건가!!!
Spring web - 웹 프로젝트를 위해
Thymeleaf - HTML을 만들어주는 템플릿 엔진
(Thymeleaf는 html 파일을 copy-absolute path해서 열면 서버 없이도 파일을 열어볼 수 있다.)
이렇게 원하는 라이브러리를 클릭한 후 GENERATE
그러면 이렇게 파일이 다운 받아진다.
다운 받은 파일은 각자 사용하는 워크스페이스에 옮겨서 압축해제
초기화면에 Open을 눌러 해당 파일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다.
해당 프로젝트의 build.gradle을 누르고 ok
그러면 이 창이 뜨는데
open as project 누르면 된다.
Trust Project 클릭
처음 만들어서 오픈하다 보니까 라이브러리를 다운 받아오는 중이라 좀 걸린다!!
합법적인 휴식을 취하면
쨔라란~ 프로젝트 빌드가 완료되었다 `ㅅ'!!
이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해보자!!
실행을 하면 콘솔 창에 메시지가 뜬다.
가끔 콘솔창을 대충보고 넘길 때가 있는데, 콘솔창은 아주 잘 봐야한다!!!!!
멍을때려도 콘솔창을 보고 멍때려야한다.
콘솔창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다 찍히기 때문!!!!!!
자 콘솔창을 확인해보자 Tomcat 포트번호 8080으로 실행됐다는 메시지가 뜬다.
실행됐는지 브라우저를 통해 확인해보자
웹브라우저에 http://localhost:8080를 입력하여 접근하면 위와 같은 페이지를 볼 수 있다.
그리고 당연하지만 새로 빌드할때 톰켓은 껐다가 재시작하면서 써야한다.
켜져있는데 자꾸 재시작 재시작하면 톰켓이 과부하가 걸려 재앙같은 오류가 뜰 것이다 `ㅅ`....
'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 Boot] 스프링 웹 개발 방법 3가지 (0) | 2023.01.02 |
---|---|
[Spring Boot] 간단한 예제로 스프링 부트(Spring Boot) 동작원리 알아보기 (0) | 2022.12.20 |
[SpringBoot] Controller 만들기 (0) | 2022.12.20 |
[Spring Boot] 메인 페이지 만들기(index.html) (0) | 2022.12.17 |
[SpringBoot] Spring Initializr 프로젝트 생성시 오류 (0) | 2022.12.14 |